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우리가 흔히 쓰는 호텔 용어
    써먹기 좋은 정보/알아두면 좋은 상식 2017. 9. 7. 12:46
    728x90
    반응형

    호텔업계에서 주로 쓰는 전문 용어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잠만 자는게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호텔에서 익숙하지 않은 용어에 당황한 적이 있으시죠.

    오늘은 호텔에서 쓰는 용어들을 조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n Bound / Out Bound

    호텔은 여행, 관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요.

    통상적으로 관광 시장은 인바운드(In-bound)와 아웃바운드(Out-bound)로 나뉩니다.

    인바운드는 외국인이 관광을 위해 국내로 들어오는 것을 뜻합니다.

    그리고 아웃바운드는 내국인이 해외로 관광을 나가는 것을 뜻합니다.

    그런고로 국내 호텔은 인바운드 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GITFIT는 무엇일까요?

    다음으로 여행객은 크게 GIT (Group Inclusive  Tourists, 단체 관광객)

    FIT (Free Individual Tourist, 개별 여행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GIT는 우리가 흔히 단체여행하면 생각나는대로 여행사 깃발 따라서 우르르 몰려다니는 단체 관광을 뜻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FIT는 여행자가 직접 스케쥴을 짜고 항공, 숙박, 관광지 예약을 해서 자유롭게 여행을 다니는 것을 뜻합니다.

     



    호텔의 등급은 어떻게 될까요?

    호텔은 시설 수준에 따라 등급을 나누는데요.

    세계적으로 호텔 등급에 대한 공통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나라마다, 그리고 지역마다 호텔 등급 체계는 다른데요.

    등급표시는 미국의 경우에는 다이아몬드, 영국은 크라운, 유럽은 별로 하구요.

    우리나라는 과거의 무궁화에서 2014년부터 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등급 분류는 통상 5단계로 하는데요. 5성급이 가장 좋은 호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흔히 6성급, 혹은 7성급 하는 등의 표현도 있는데요.

    이것은 법적인 분류는 아닙니다.

    일반적인 5성급보다는 훨씬 우수한 호텔이라는 마케팅적인 표현이라고 할까요?

    이런 최고급 호텔들도 법적으로는 모두 5성 호텔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별 하나짜리 호텔은 객실, 욕실, 조식이 가능한 정도의 수준을 뜻합니다.

    별 두 개는 식음료 부대 시설이 있는 경우에 달 수 있구요.

    별 세 개는 1개 이상의 레스토랑과 로비, 라운지, 휴식 공간이 있는 경우에 달 수 있습니다.

    별 네 개는 2개 이상의 레스토랑과 대형 연회장과 국제 회의장, 12시간 이상의 룸서비스가 가능할 때,

    그리고 별 다섯 개는 3개 이상의 레스토랑과 대형 연회장과 국제회의장, 24시간 룸서비스가 가능할 때 5성 호텔의 별을 달 수 있습니다.

     



    No Show라는 용어는 많이들 들어보셨죠? 요즘 레스토랑들도 이 노쇼 때문에 골치를 앓고 사회 문제로까지 번지고 있다고 합니다. 얘약하고 나타나지 않는 고객을 뜻합니다.

     

    상식적으로 그냥 알아보는 것으로 No Show(노 쇼)의 반댓말로 Go Show (고 쇼)라는 용어도 있습니다.

    빈 객실이 없는 경우에 예약 취소나 No show로 빈 객실이 생기기를 기다리는 대기 고객을 뜻합니다.

     

    요즘은 거의 대부분 호텔스컴바인 등의 사이트를 통해 예약을 하는데요. 가끔은 예약없이 바로 오는 고객들도 있습니다. 이런 고객을 Walk In이라고 합니다.   



     

    Accommodation이라는 용어는 호텔, 리조트 등 숙박 시설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그리고 Complementary는 무료를 뜻하는 말입니다.

     

    흔히 어메니티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어메니티는 Amenity, 그러니까 객식내에 구비되어있는 일회성 생활 용품을 뜻하는 말인데요.

    비누, 샴푸, , 로션 등등의 용품들을 뜻하는 말입니다.

     

    호텔을 돌아다니다보면 Banquet이라는 표지를 보기가 쉬운데요.

    Banquet는 연회장을 뜻하는 말입니다.

     



    호텔 객실에 보면 문고리 아래 걸 수 있는 문구가 보이실 것입니다.

    한 쪽 면에는 DO NOT DISTURB ,그리고 다른 한쪽면에는 MAKE UP이라고 적혀있는 표지인데요.

    DO NOT DISTURB는 쉬고 있으니 방해하지 말라, 즉 객석 청소는 나중에 해달라고 하는 뜻이구요.

    MAKE UP은 객실 청소를 해달라고 요청하는 표시를 말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Housc Keeping (하우스 키핑)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으실 것입니다.

    하우스키핑은 호텔의 객실 관리를 담당하는 부서를 말하는데요.

    호텔방 안에 있다보면 밖에서 노크를 하면서 하우스 키핑이라고 말하는 경우를 들어본 적이 있으실 것입니다.

    이것은 청소 시간에 고객이 방에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호텔 용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